지식 형태와 채널 관계가 신제품 창의성과 시장 선도성에 미치는 영향: 일본 하이테크 B2B기업을 중심으로*
Received: Feb 06, 2017; Revised: Feb 28, 2017; Accepted: Feb 28, 2017
Published Online: Apr 30, 2017
국문초록
하이테크 B2B기업은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신제품 창의성을 통해 신제품 경쟁 우위를 추구해야 한다. 자원 기반 이론은 기업 내 무형적 자원인 지식 자원을 통해 신제품 창의성을 고취시킬 것을 제시하며, 유통 채널 관리 이론 은 기업 외부의 유통 채널과 관계를 통해 기업 경쟁력을 강화시킬 것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Day(1994)의 기업 역량 이론 을 바탕으로, 신제품 창의성의 선행 요인으로써 기업 내부 요인인 신제품 개발에 사용되는 지식의 형태뿐만 아니라 기업 외부 요인으로써 유통 채널 관계 특성을 포함하는 통합적인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검정하기 위해 최근 하이테크적 성격을 보이고 있는 일본의 하이테크 B2B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 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신제품 개발에 사용되는 지식의 형태와 함께 유통 채널 관계 특성이 신제품 창의성의 두 측면인 신제품 참신성과 신제품 의미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둘째, 신제품 창의성이 신제품 시장 선 도성을 매개하여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론적으로, 본 연구는 독립적으로 발전해온 신제품 개발 관리 연구와 유통 채널 관리 연구에 각각 새로운 변수를 제시하 고 통합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실무적으로, 본 연구는 신제품 창의성을 고취시키려는 B2B 관리자들에게 자 사가 보유한 유통 채널 관계 특성에 주의해야함을 제시하였으며, 일본 기업 환경의 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