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derating Effect of Supplier Benevol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lateral Governance and Supplier Performance
Received: Mar 22, 2017; Revised: Apr 12, 2017; Accepted: Apr 12, 2017
Published Online: Apr 30, 201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firm benevol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firm governance and interfirm performance. 192 purchasing managers from manufacturing companies participated in a survey. Through these, the moderating role of benevole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 buyer’s unilateral governance and supplier performance is identified. A buyer’s perception of a supplier’s benevolence is observed to weaken the effect of the buyer’s unilateral governance on supplier performance. Thu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firms do not always rely on unilateral governance when they can nurture interfirm benevol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change partners.
ABSTRACT
본 연구는 공급자의 호의성이 일방적 통제와 공급자 성과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 자 하는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기업간 관계에서 성과측정은 무척 중요한데 본 연구는 192명의 구매담당자 를 대상으로 신뢰의 한 단면인 기업간 호의성이 구매자의 일방적 통제가 공급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절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공급자의 호의성이 높은 경우에는 구매회사 가 성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일방적 통제의 효과가 사라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국 기업들은 항상 일 방적 통제 메카니즘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의 호의성이 약할 때에는 일방적 통제 메카니즘의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기업간 호의성이 강할 때에 는 어떤 통제 메카니즘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답하지 않은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