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Channel and Retailing
Korea Distribution Association
Policy article

한국형 스트리트형 상권(문화쇼핑거리)의 현황과 발전방안

정연승1, 최순화2,*
YeonSung Jung1, Soonhwa Choi2,*
1단국대학교 경영학부
2동덕여자대학교 국제경영학과
1Associate Professor of Marketing, Dankook University
2Associate Professor of Marketing, Dongduk Wome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jys1836@dankook.ac.kr

© Copyright 2016 Korea Distribution Associ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an 06, 2016; Revised: Mar 03, 2016; Accepted: Mar 10, 2016

Published Online: Apr 30, 2016

국문초록

최근 들어 전통적인 상점가에 문화예술적 가치가 복합된 문화쇼핑거리(Cultural Shopping Street)형 상권이 부상하고 있 다. 문화쇼핑거리는 상품 구매와 함께 다양하고 이색적인 문화 체험을 추구하는 소비자 니즈에 부합할 뿐 아니라 지역과 도시의 매력도를 높여 외국인 관광객의 방문을 유도하는 자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주로 중소 상점을 중 심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소상공인들이 성장의 기회를 발굴할 수 있는 장소라는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및 도시의 경제적, 문화적 경쟁력을 창출하는 문화쇼핑거리의 지속적인 생성과 발전을 위한 정 책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대표적인 문화쇼핑거리들의 형성 및 발전 과정, 최근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사례 대상지로는 최근 10년 내에 대규모 재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서도 점포 및 방문객 수가 급격하게 증가한 거리, 타 지 역과 차별화된 정체성을 보유한 거리, 향후 상권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모색할 수 있는 거리의 조건에 적합한 가로수 길, 경리단길, 상수동길을 선정하였다. 또한 거리의 사업주체, 정부, 이용객의 상호 신뢰와 협조를 바탕으로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해외 선진 사례(영국 버밍엄 브로드 스트리트, 미국 시애틀 파이오니아 스퀘어 거리)를 추가적으로 분석하 였다.

본 연구는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문화쇼핑거리의 유형과 속성을 분석하는 모델을 제안하고 거리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 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한 문화쇼핑거리 지원 정책은 공공시설 투자 및 이벤트, 축제 개설과 같은 직접적 방식과 임대료 급상승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한 건물주 인센티브 제공 등 간접적 방식을 포함한다. 또한 해 외 선진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거리 운영주체를 효과적으로 조직화하고 기업 및 공공기관 등 지원주체를 다원화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였으며, 지자체 연계 시범사업 전개, 국내 문화쇼핑거리 현황조사, 온라인/SNS를 활용한 거리 활성화 등 의 정책적 과제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역사성, 문화, MD, 공공시설, 거리 규모의 5개 차원으로 구성되는 문화쇼핑거 리 모델링을 통해서 특정 거리의 유형별, 성장단계별 특성 분석과 지원 방향을 모색할 수도 있음을 제안하였다.

Keywords: 문화쇼핑거리; 지역발전; 소상공인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