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분배 불공정성/공정성과 기회주의간 관계에 관한 주요 정량적 연구

연구 연구 문맥 이론적 배경 (불)공정성 지각과 주체 설명 메커니즘 성과 변수 본 연구와 관련한 주요 발견
매개 변수 조절 변수
Luo (2007) 중국의 복수 산업에 있어 192개 지분 기반 국제 합작 투자 기업 간 관계a 경제적/사회적 교환 논리b 합작 투자 기업 간 공정성 지각 N/T N/T 해외 파트너 기회주의; 현지 파트너 기회주의 • 국제 합작 투자 기업 간 관계에서 분배 공정성이 해외 및 현지 파트너 기업 모두의 기회주의를 억제하는 직접 효과가 유의함.
Crosno et al. (2013)c 노르웨이의 가전 산업에 있어 120개 소매업체–공급업자 간 관계 거래 비용 경제학; 반발이론; 조직 공정성 소매업체의 공급업자에 대한 공정성 지각 N/T N/T (소매업체의)소극적 기회주의 • 공급자의 분배 공정성과 소매업체의 소극적 기회주의간의 부정적인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음.
Luo et al. (2015) 중국의 가전 산업에 있어 225개 제조업자–유통업자 간 양자적 관계 거래 비용 이론; 사회적 교환 이론 (양자 기업의) 파트너쉽 공정성 지각 N/T N/T (파트너의)강한 형태의 기회주의; (파트너의)약한 형태의 기회주의 • 파트너쉽에서 분배 공정성은 파트너의 강한 형태의 기회주의를 약화시키는 반면, 약한 형태의 기회주의와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음.
Huo et al. (2016) 중국의 복수 산업에 있어 240개 기업의 공급망 관계d 거래 비용 경제학; 사회적 교환 이론 구매자의 공급업자에 대한 공정성 지각 구매자 특유 투자; 구매자 커뮤니케이션 N/T 공급자 기회주의; 구매자 기회주의 • 공급자의 분배 공정성은 증가된 구매자 특유 투자의 매개 효과를 통해 공급업자 기회주의를 높임.• 공급업자의 분배 공정성이 구매자 커뮤니케인션과 구매자 기회주의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음.
Trada and Goyal (2017)e 인도의 의약품 산업에 있어 247개 공급업자–유통업자 간 양자적 관계 거래 비용 경제학; 공정성 이론 유통업자의 공급업자에 대한 불공정성 지각 N/T N/T 유통업자 기회주의 • 공급자의 분배 불공정성이 유통업자의 기회주의를 증가시키는 직접 효과가 유의함.
Jia et al. (2021)f 중국의 핸드폰 산업에 있어 348개 제조업자–재판매업자 간 양자적 관계 거래 비용 경제학; 조직 공정성 이론g 재판매업자의 제조업자에 대한 공정성 지각 N/T N/T 재판매업자 기회주의 • 공급자의 분배 공정성과 재판매업자의 기회주의 간의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음.
본 연구 일본 볼런터리체인에 가맹한 241개 중소슈퍼마켓의 가맹점 간 관계 거래 비용 이론; 조직 공정성; 사회적 교환 이론; 고성과자 이론 본부의 분배 공정성 N/T 가맹점 간 사회적 상호작용; 가맹점 성과 (가맹점의) 계약 기반 a) 적극적, b) 소극적 기회주의; 반응 기반 c) 적극적, d) 소극적 기회주의 • 분배 공정성이 계약 기반 적극적/소극적 및 반응 기반 적극적 기회주의를 완화시키는 직접 효과가 유의함.• 사회적 상호작용은 분배 공정성이 계약 기반 적극적 기회주의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강화함.• 가맹점 성과는 분배 공정성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2 방향 상호작용이 계약 기반 적극적/소극적 및 반응 기반 적극적 기회주의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강화함.
N/T=검증하지 않음(Not tested);
전자 및 전기설비, 통신, 의약 설비, 섬유, 기계 제작, 의약, 화학 및 플라스틱 제품, 공예 등을 포함;
경제적 교환 논리는 거래 비용 이론 등에 기초하여 계약과 구조적 측면을, 사회적 교환 논리는 사회 교환 이론 등에 기초하여 관계성와 공정성 측면에 초점을 둠;
이 연구는 소매업체의 거래 특유 투자를 독립변수, 분배 공정성을 조절변수로 고찰하였음. <표 1>에서는 가설 구축은 되지 않았지만, 분배 공정성과 소극적 기회주의 간의 직접 효과의 결과에 초점을 둠. 덧붙여, 거래 특유 투자와 분배 공정성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음;
전자, 가전, 고무, 플라스틱, 의약, 금속 가공 제품, 산업 장비 등을 포함;
이 연구는 공급업자의 관계 특유 투자, 환경적 불확실성, 행동적 불확실성을 독립변수, 공급업자의 분배 불공정성을 조절 변수로 고찰하였음. <표 1>에서는 분배 불공정성과 기회주의 간의 직접 효과에 관한 가설 검증에 초점을 둠. 덧붙여, 공급업자의 관계 특유 투자 및 환경 불확실성과 유통업자의 기회주의 간의 긍정적인 직접 효과에 대한 분배 불공정성의 긍정적 조절 효과가 유의함. 하지만, 행동적 불확실성과 분배 불공정성의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음;
이 연구는 제조업자의 강압적/비강압적 영향력을 독립 변수, 재판매업자의 분배 공정성 지각을 조절 변수로 고찰하였음. <표 1>에서는 분배 공정성과 기회주의 간의 직접 효과에 관한 가설 검정에 초점을 둠. 덧붙여, 제조업자의 강압적 영향력과 기회주의 간의 긍정적인 직접 효과를 분배 공정성이 강화시키는 반면, 비강압적 영향력과 기회주의 간의 부정적인 직접 효과에 대한 분배 공정성의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음;
이 연구는 조직 공정성 이론에 기초함.